본문 바로가기

android studio

[Android] 네이밍 표기법(naming Conventions)

네이밍 표기법(naming Conventions) 종류

1. Camel Case (낙타 표기법)

 1. lowerCamelCase (소문자 낙타 표기법)

  • 첫 번째 단어는 소문자로 시작하고, 이후 단어들의 첫 글자는 대문자
  • 주로 변수명, 함수명에 사용
var userName = "John Doe"
fun fetchUserData() { ... }
val questionCount = 5

 2. UpperCamelCase (대문자 낙타 표기법, PascalCase)

  • 모든 단어의 첫 글자가 대문자
  • 주로 클래스명, 인터페이스명, 객체명에 사용
class ChatViewModel { ... }
interface Clickable { ... }
object NetworkClient { ... }

2. Snake Case (뱀 표기법)

1. snake_case (소문자 뱀 표기법)

  1. 모든 글자를 소문자로 작성하며, 단어 사이를 _(언더스코어)로 구분
  2. 주로 XML 리소스, 데이터베이스 필드명 등에 사용
<TextView
    android:id="@+id/tv_user_name"
    android:text="John Doe"/>
val user_name = "John Doe" // Kotlin에서는 lowerCamelCase 사용 권장

2. SCREAMING_SNAKE_CASE (대문자 뱀 표기법)

  • 모든 글자를 대문자로 작성하고, 단어 사이를 _(언더스코어)로 구분
  • 주로 상수(Constant) 및 환경 변수에 사용

3. Kebab Case (케밥 표기법)

  • 단어를 -(하이픈)으로 구분하는 표기법
  • HTML, CSS, URL에서 주로 사용
<div class="chat-container"></div>
.chat-container {
    background-color: #ffffff;
}

4. Hungarian Notation (헝가리안 표기법)

  • 변수의 데이터 타입이나 용도를 접두사로 붙이는 방식
  • 과거 C/C++에서 사용했지만, Kotlin 및 현대 개발에서는 거의 사용되지 않음
var strUserName = "John Doe" // (X) 헝가리안 표기법은 Kotlin에서 사용하지 않음
var iCount = 10 // (X) 대신 'count' 같은 명확한 이름을 사용

 

정리

표기법 설명 사용처 예시
lowerCamelCase 첫 단어 소문자,이후 단어
대문자
변수, 함수 userName,
fetchData()
UpperCamelCase
(PascalCase)
모든 단어 대문자 시작 클래스, 인터페이스, 객체 ChatViewModel,
MainActivity
snake_case 모든 글자 소문자, _로 구분 XML 리소스, DB 필드 activity_main.xml,
tv_user_name
SCREAMING_SNAKE_CASE 모든 글자 대문자, _로 구분 상수, 환경 변수 MAX_QUESTION_COUNT,
API_BASE_URL
kebab-case 모든 글자 소문자, -로 구분 HTML, CSS, URL chat=container,
button-primary
헝가리안 표기법 접두사로 타입 표시 옛날 C/C++ 스타일 (사용 x) strUserName, iCount (x)